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계산 방법 (미납내역 / 납부액)! 내가 낸 국민연금 얼마나 쌓여있는지 단 1분만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에 이어서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및 계산 방법 같이 살펴보겠습니다. 직장인분들이라면 거의 대부분 국민연금액을 내고 계실텐데요. 과연 내가 그동안 얼마나 냈을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?
국민연금공단에서는 해당 문의가 많았는지 회원가입 없이 간단하게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마련해두고 있습니다. 현재 경기불확실성이 커지며 국민연금만큼 든든한 노후 자금 또한 없는 실정이니 자세한 내용 경제적 자유 FF에서 같이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확신합니다.
국민연금 수령액 받는 나이
출생년도 | 수령나이 (만 기준) | 조기수령나이 |
---|---|---|
1952년 이전 | 60세 | 55세 |
1953-56년생 | 61세 | 56세 |
1957-60년생 | 62세 | 57세 |
1961-64년생 | 63세 | 58세 |
1965-68년생 | 65세 | 59세 |
1969년 이후 | 65세 | 60세 |
국민연금 10년 이상 납부한 이들 중 위와 같은 나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국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해당 나이보다 이전 또는 이후에 받게 된다면 수령액이 차이가 나는데요. 조기 수령할 경우 1년에 6%씩 감액된 금액으로 수령하게 됩니다. 최대 5년 빨리 받을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원래 받을 국민연금의 70%만 받을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.
반대로 1년 연기시다마다 7.2% 증액되어 최대 5년 연기 시 36% 국민연금 수령액 증액이 가능합니다.
같이 읽으면 좋은 글 : 신용등급 무료 조회 어플 서비스 BEST 5
같이 읽으면 좋은 글 : 보조금24 신청 방법 총정리 (+ 소득구간)
같이 읽으면 좋은 글 : 정부지원 안심전환대출 자격 조건 및 신청 방법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계산 방법
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계산 방법 및 미납내역 확인하는 법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 모두 다 국민연금공단 공식 웹 사이트에서 가능하니 아래의 버튼을 통해 접속한 뒤 순서대로 따라해보세요.
1.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바로가기

nps.or.kr 또는 네이버/구글에서 국민연금공단을 검색해 공식 웹 사이트로 접속합니다. 모바일보다는 PC에서 확인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.
2. 개인민원 클릭

상단 카테고리에서 전자민원 아래의 개인민원을 클릭해 나의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
3. 본인인증

간편인증을 통해 본인인증만하면 로그인 없이 국민연금공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단,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야 개인정보 유출 등의 해킹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.
4. 가입내역조회 클릭

가입자의 국민연금 보험료 및 예상연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곳입니다. 이 곳을 클릭해 본인의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가 가능합니다.
5.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

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총 국민연금 납부내역을 금액과 월수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 탭을 통해 얼마나 많은 미납액이 있는지 또한 확인이 가능합니다.
미납내역의 경우, 미납 보험료에는 최대 5% 연체료가 부과되며 징수권 시효가 3년이므로 3년이 지난 후에는 내고 싶어도 낼수가 없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습니다.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예상수령액표
위에서 언급한 납부금액 확인 방법과 비슷한 방법으로 본인이 은퇴 뒤 받을 예상수령액 또한 조회가 가능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인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에서 확인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.
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은 가입기간 중 기준 수득월액 평균액과 연금수급 전 3년 간 가입자의 평군소득월액 평균을 고려하여 산정되는데요,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자신의 예상 수령금액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.

요약
이상으로 ‘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계산 방법 (미납내역 / 납부액)’에 대한 내용을 마치겠습니다. 국민연금 관련 질의가 많은 관계로 다음 포스팅에서는 국민연금 조기 수령 방법 또는 국민연금 장단점 등 관련 시리즈를 기획 중이니 경제적 자유 FF를 즐겨찾기해두시면 도움이 될리라 확신합니다!